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자의 그릇
- 요격 시스템
- 투포인터
- 1권 1진리
- for ... in
- keyup
- 프로그래머스
- 리코쳇 로봇
- for ... of
- css
- 이즈미 마사토
- 내성적인 건물주
- 저는 이 독서법으로 연봉 3억이 되었습니다.
- js
- woff2
- window.onload
- decodeURIComponent
-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DOMContentLoaded
- TypeScript
- 2023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keypress
-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 react native
- fontweight
- custom font
- level2
-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 Today
- Total
스카이코의 세상
CRLF vs LF 본문
에디터로 작업을 하다보면 하단에 CRL나 LF로 된 부분을 볼 수 있다.
회사에서는 CRLF로 설정되어 있고 집의 노트북에는 LF로 설정되어 있었다. 이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CRLF는 Carriage Return Line Feed의 약자라고 한다. 정확히 나누면 Carriage Return / Line Feed이다. 이 단어들은 옛날에 사용했던 타자기에서 유래되었다. 타자기의 종이를 움직이게 만드는 부분을 Carriage라고 하는데 종이의 맨 앞부분에 작성할 수 있게 이동하는 것을 Carriage Return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음 줄에 작성하기 위하여 한줄 간격만큼 위로 올리는 행위를 Line Feed라고 한다.
즉 타자기 동작에서 다음 줄에 작성하기 위하여 Carriage Return을 통해 커서를 현재 줄의 맨 앞으로 이동시키고, Line Feed를 통하여 한줄 간격만큼 아래로 커서를 이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 타자기의 동작은 LF만으로도 충분히 다음 줄로 커서의 이동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CRLF는 아스키코드로 \r\n으로, LF는 \n로 표현이 되는데 효율성 측면에서도 LF를 쓰는 것이 더 적절해보인다. Prettier에서도 CRLF보다는 LF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을 OS에서도 구분하고 있는데 Windows OS에서는 기본적으로 CRLF 방식을 사용하고 Linux(유닉스 계열)의 OS에서는 LF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최신 에디터에서는 이들을 알아서 모두 줄바꿈으로 인식해준다.
회사에서는 Window 노트북을 사용하다보니 에디터에 CRLF라는 표시가 떴었고 개인 노트북은 Mac을 사용하여 LF라고 표시가 되었었나보다.
'IT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cess Token 다중 요청 문제 해결 (0) | 2024.02.25 |
---|---|
HTML에 SVG를 추가하는 방법 (2) | 2023.01.07 |
시맨틱 버저닝(Semantic Versioning) (2) | 2023.01.05 |